티스토리 뷰
드론 배터리 관리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배터리에 관해서는 사실 DJI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터리 AS기준을 보면 12개월, 200회 충전 미만까지입니다. 보통 취미로 날릴 때 200회 채우기도 전에 중고 판매로 갑니다.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배터리는 꼭 이렇게 보관해야 한다는 원칙에 사로 잡혀 스트레스 받지말것과, 200회 정도는 대충 던져놓아도 괜찮다는 의미입니다. 생각보다 쉽게 부풀거나 하지 않아요.
2. 그럼에도 배터리를 안전하게 오래 사용하는 좋은 방법이 궁금하다면, 차라리 되도록 자주 충전하고 비행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왜냐하면 배터리에게 제일 나쁜 것은 그냥 오래 방치해두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3. 만약 오랫동안 방치할 것 같다면 60% 정도 충전해서 보관하는 것이 좋아요. 그런데 매번 그 정도 충전되는지 지켜보고 있기 힘들잖아요? 그런데 사실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일단 완충하고 내버려두면 설정에 따라 최소 바로 다음 날부터 방전하기 시작해서 적정 수준을 유지하는 인텔리전트 기능이 있습니다. 혹은 바로 60% 수준으로 충전 가능한 아래와 같은 제품도 있습니다.

4. 비행 후 뜨거운 상태의 배터리 바로 충전하기, 너무 더운 여름 차량 실내나, 너무 추운 겨울 야외 등 배터리에 취약한 온도에 방치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3 PRO + RC 조종기" VS "매빅3 + RC PRO 조종기" 거리 비교 (0) | 2022.06.23 |
---|---|
DJI 미니3 PRO + RC 조종기 장단점 (2) | 2022.06.20 |
매빅 3 DJI Mavic 3 및 RC PRO 조종기의 소소한 단점 (0) | 2022.06.08 |
21대9, 16대9 화면비율 섞여 있을 때 21대9에 맞추기(다빈치리졸브) (2) | 2022.05.21 |
다빈치리졸브에서 LUT 한꺼번에 적용하기 (0) | 2022.05.2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용담
- 웅산가교
- 토곡산
- C850D
- 단풍마
- 다빈치리졸브
- 적하수오
- 삽주
- 천문동
- 백출
- 넥스가드스펙트라
- Satellite
- 애기나리
- 부처손
- 시루봉
- 약초산행
- 둥굴레
- 둥글레
- 정병산
- AIR2S
- 운지버섯
- 우슬
- 하수오
- 심장사상충
- 망운대
- qm6
- 미니3
- 청룡사
- 백수오
- DHPP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