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상"표"소 - 螵 오징어 표, 사마귀알 표



성미 - 감(달고) / 함(짜고) / 평성


기능

1. 보신작용 - 콩팥을 보하는

2. 고정작용 - 정액 새는 것을 막음 - 신장기능(신장의 힘;기;마력)이 떨어지면(신허하면;약하면) 샘

※ 유정 - 시도때도 없이 저절로 조금씩 샘 / 활정 - 발기 시 샘

※ 사구체신염 - 콩팥의 진액이 말라서 오는 것, 마력이 떨어지는 것과 다름

3. 축뇨작용 - 소변양을 줄여줌


주치

1. 신허 - 유정 / 조루 / 활정

상표"소"(볶은)20 / 용골30 / 연순10 / 산약초20 / 생지황30 / 금앵자15(고정작용 최고약재)

2. 요실금, 빈뇨

상표소20 / 익지인15 / 오약10 / 산수유12 / 산약초20 / "단"(구운)용골30 / 만삼30

3. 유뇨증(밤에 자기도 모르게 소변 지림), 요실금(비방)

숙지황30 / 산수유12 / 산약초20 / 오미자10 / 익지인15 / 복분자20 / 초계내금30(닭모래집안 노란껍질) / 음양곽15 / 속단30

※ 정력이 약하고 20년동안 유뇨증 환자 치료 사례 있음

※ 추가약재 - 발까지 찬 경우(콩팥이 찬 경우) - 육계5 / 포부자10 / 쇄양15 / 상기생30 을 활용함

※ 숙지황 복용으로 위장 장애 시에는 - 공사인10 + 두충10 추가

※ 초계내금 - 괄약근 강화 작용, 음양곽을 추가하면 효과 증대


1일 용량은 10 ~ 20 사용가능


금기사항

1. 음허화왕 - 수족번열(손발 뜨거운), 도한(잠잘 때 나는 도둑땀), 오후상열(오후되면 얼굴이 후끈후끈), 방광에 열이 있을 때, 소변 볼 때 따끔거리는 증상이 있을 때

※ 음허는 진액이 말라서 과부하 걸린 상황, 즉 엔지 오일없이 엔진을 돌린다는 의미 - 이런 것을 허열(실제 열이 아님을 의미)이라 함 - 엔진 오일이 떨어졌는데 계속 엔진을 돌리면 나는 열


다 같은 축뇨작용이지만 세부사항이 조금씩 다름

- 복분자 - 축뇨작용 - 소변빈삭에 좋음

- 익지인 - 축뇨작용 - 보비신 작용 함

- 오약    - 축뇨작용 - 신장, 방광의 냉기를 없애는 약재 / 방광기화작용 - 소변이 차면 열고 닫는 작용

- 상표소 - 축뇨작용 - 신장고삽 - 고삽이란 빠져나가지 못 하게 잡아두는 것을 의미, 정액을 잡아둠

※ 흔히 감기 환자에게 사과가 해롭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과일의 신맛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 신맛은 빠져나가지 못 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함. 즉 땀을 내서 열을 발산해야 하는데 땀을 못 나오게 하니까 감기가 안 낫는다고 설명함. 매실이나 사과등.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