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aoogle.tistory.com/entry/약초공부2016년12월02일원지소태나무노니8가지체질-등
에서 정리하던 내용인데, 앞으로 계속 봐야 할 내용이고, 중요한 내용이기에 따로 게시함
추가되는 내용은 계속 추가함
8가지 체질
1. 기허체질(기가 약함)
- 증상 : 기단(숨을 연달아 쉬지 못 함;헐떡임;숨이 가쁨) / 한출(땀 발산) / 핍력(힘 없음) / 설변치은설 / 반대설(혀가 크고 부어있는 상태)
피곤·피로 / 한출(폐기허) / 빈뇨(신기허;복분자 주처방) / 눈피로(간기허)
※ 간 기능 차이는 운동능력(등산같은)으로 알 수 있음
※ 간 기능 회복 - 영지10 / 구기자10 / 오미자10
- 눈 피로는 간허 / 힘이 없다면 비장 허 / 인삼+백출+백복령+감초 = 사군자탕을 쓸 수 있음
- 약재 : 인삼/대추/산약
- 금기 : 사우나(다한 유발) / 매운 음식 / 무우(기가 더 빠짐)
※ 기란 사람으로 말하자면 힘이고 기계로 치면 마력의 의미
2. 양허체질(양은 열인데 열이 약함. 즉 몸이 차다는 의미)
- 증상 : 수족냉증 / 담백설 / 박백태
- 발 뒷꿈치가 차다면 신 양허
※ 발 뒷꿈치가 아프다면 진액 부족
- 약재 : 신 양허에는 생강차와 족욕을 권함
- 금기 : 찬 음식 / 생 음식 / 찬 곳에 발 노출
※ 실열(실제로 열이 있는 사람), 허열자, 신우신염(염증은 습과 열로 인한 것) 환자는 생강차 복용 금지
※ 이명, 풍치, 실열자, 진액이 마른 사람은 족욕 금지
3. 음허체질(진액이 마른 상태)
- 증상 : 오후상열 / 도한 / 수족번열 / 무태 / 홍설 / 건조설 / 열문설 / 망자설(혓바늘)
간 진액 마름 - 안구건조, 일관전 좋음 / 위 진액 마름 - 구건 / 폐 진액 마름 - 피부 각질, 사삼20+맥문동20+백합20 / 콩팥 진액 마름 - 발바닥 두꺼워지고 뒷꿈치 각질, 육미지황탕 좋음
- 진액보충 : 오리고기 / 산약 / 육미지황탕
- 금기 : 누룽지, 볶음류
- 진액부족이란? 기계로 치면 오일, 장기의 윤활제로 그것이 마른 상태. 오일이 마른 상태로 기계가 계속 가동되면 가열 됨(허열)
※ 실열 - 간·위의 실제 열 - 굵고 딱딱한 변을 보는 변비 - 물을 벌컥벌컥 마심
※ 허열 - 오일이 말라서 가열된 상태 - 물 마실 때 가볍게 입만 적심
4. 담습체질(습담, 습열체질)
- 뇌경색, 치매, 심근경색 등이 발생 할 가능성이 있음
※ 비만있는 사람 / 부분적(목이나 엉덩이) 감각 이상 / 가래같은 습담이 온 몸에 끼여있어 혈액 흐름을 막음 → 뇌경색·심근경색 옴
- 창출10(습 말림) / 반하12(담 녹임) / 후박 / 진피 → 반하는 법제하기 귀찮으면 생강5 첨가해서 다림
- 증상 : 손이나 몸에 물혹이 많고, 가래가 많이 끓는 사람. / 부종(자고 일어나면 몸이 붓는) / 몸이 무겁게 느껴지는
- 폐, 콩팥, 비장의 담습이 원인 일 가능성이 높음
- 약재 : 율무차 / 팥(어혈체질, 담체질에 좋음)
※ 팥을 끓일 때 살짝 끓인 첫 물은 버리고 활용할 것. 위º간열에도 좋음
※ 담탁체질 - 비실(비장기능 항진)이 원인 - 신장물혹, 쓸개물혹 발생 - 열 까지 많으면 신석, 담석이 됨
5. 습열체질
- 염증이 잘 발생하는 체질
- 증상 : 여드름, 뾰루지, 부스럼, 발냄새
- 간담습열 증상 : 남자의 경우 낭습(사타구니 축축), 여자의 경우 겨드랑이 축축하고 액취증 / 황니태
※ 간습열 - 비장이 차서 담즙 분비 안 됨 / 눈의 흰자위가 탁함(음황) / 간염있는 자 / 황달(양황) / 인진쑥20 또는 용담초12
- 비위습열 증상 : 속이 메슥거림, 변당(무른 변), 후증감, 변기에 변이 많이 붙는다.
- 하초습열 증상 : 방광염, 요도염
- 습을 빼는데는 복령이 좋다(복령 + 율무).
6. 어혈체질
- 증상 : 야간에 자통(바늘로 찌르는 통증) 발생(야간에 더 심해짐) / 청자(자주빛)설 - 한체어혈 / 홍자설 - 열체어혈 / 암자설 - 기체어혈
※ 어혈의 설진 : 어반설(청자색의 검은 빛 반점이 큰 경우), 어점설(청자색의 검은 빛 반점이 작은 경우)
※ 어혈의 면진 : 검고 칙칙한 느낌(낯빛이 그러하다면 간신어혈 / 입술이 그러하다면 심혈관 어혈
※ 어혈의 수진 : 손금이 검다(생명선이 검다면 간신어혈 / 지혜선이 검다면 뇌 어혈 / 감정선이 검다면 심폐어혈)
* 손가락이 검다면 기체체질로 봐야 함.
※ 어혈의 원인 - 한기, 열, 기허, 혈허, 담다(多), 수술, 타박상, 진액이 부족한 경우
※ 어혈로 올 수 있는 병증 - 뇌경색, 심근경색
※ 암 발생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음
1. 담습체질 - 선체암(유선, 갑상선, 전립선)
2. 어혈체질 - 장부(오장)의 암
- 약재 : 장미 꽃봉우리(간 어혈 - 삼칠근 + 홍화, 심장 어혈 - 단삼 + 홍화)
※ 입술, 잇몸, 손금 거무튀튀 / 기미잡티 늘어남 / 자궁근종(자궁에 어혈) / 하지 정맥류
근종과 물혹은 어혈이 있음을 의미, 간 물혹에는 울금이 좋음
단삼30 / 홍화10 / 도인10 / 울금10
7. 기울체질(기체체질)
- 증상 : 설진 - 암담설 / 면진 - 잡티(기체의 상징임) / 수진 - 손가락이 검다.
- 통증의 증상 : 무지근하고 아리고 욱신욱신한 느낌(경상도 방언으로 우리함), 통증이 돌아다니는 이동성 통증 유형, 스트레스에 취약(심한경우 우울증으로 까지 발전)
※ 한숨을 쉬는 사람, 매핵기(목에 이물감, 뭔가 걸린듯 함), 기허체질이 주로 기체자 됨, 성질 급해지고 짜증을 잘 냄
- 약재 : 향부자 + 들국화
- 기체에 고수(빈대풀)도 좋음, 다만 고수를 장기 섭취 시 건망증이 올 수 있다고 함(천금방에 기록된 내용).
- 본초강목에 백출이나 목단피가 들어있는 처방을 복용하는 사람은 고수를 먹지 말아야 한다고 기록 됨
- 금기음식 : 찬음식, 짠음식, 떫은 맛 음식, 산(신)음식, 매운음식, 튀김
※ 돼지고기, 도토리, 생무우(기 약한 사람 먹으면 안 됨)
8. 과민체질(스트레스, 신경성 체질)
- 증상 : 설진 - 사각설(혀 모양이 뭉툭하여 사각형에 가까운) / 면진 - 낯빛이 창백하고 하얀, 혹은 누렇게 뜬 사람 / 수진 - 과민선이 있는 사람
- 약재 : 황기 + 방풍 + 대조30 + 산약20 + 생강5 → 황기와 방풍은 폐기를 돋움
※ 폐기가 떨어지면 알레르기 비염, 피부 질환 등 발생 함
- 금기음식 : 생선, 돼지고기, 매운음식, 짠음식
- 스트레스 과로로 인한 저혈압 : 맥완, 지맥, 심양허라면 육계9 + 계지9 + 자감초9
- 고지혈증 : 산사10 + 국화10 + 금은화10
※ 스트레스가 고지혈증을 유발하는 이유는 과잉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능력을 손상시키거나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염증을 촉발하기 때문
+1 하나 더 추가하자면 혈허체질
- 증상 : 손발저림, 앉았다 일어날 때 어지러움, 근육저림(근육으로 가는 혈 부족), 간혈부족(안화증, 손톱각질)
'약초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공부-간담습열, 낭습, 비위습열, 하초습열, 실열변비, 폐한증, 열증 (0) | 2017.02.03 |
---|---|
산약초공부 - 금전초 (0) | 2017.01.25 |
약초공부-2017년01월06일-남성보약, 여성보약, 발바닥각질,고혈압 등 (0) | 2017.01.14 |
산야초교실 - 상표소 - 사마귀 알집 (3) | 2017.01.13 |
약초공부-2016년12월02일-원지,소태나무,노니,8가지체질 등 (0) | 2017.01.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천문동
- AIR2S
- 미니3
- 하수오
- 약초산행
- 망운대
- 다빈치리졸브
- 애기나리
- 넥스가드스펙트라
- 부처손
- C850D
- 심장사상충
- 단풍마
- 정병산
- 둥글레
- DHPPL
- 백출
- 시루봉
- 둥굴레
- 백수오
- 우슬
- Satellite
- qm6
- 운지버섯
- 용담
- 적하수오
- 삽주
- 웅산가교
- 토곡산
- 청룡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