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SSD를 새로 꽂았는을 때 바이오스에서는 인식되지만 부팅 후 Windows 10에서는 인식 안 됨
2. Sata0, Sata1 포트는 6Gb/s 이고 Sata2, Sata3는 3Gb/s 임
3. Sata0, Sata2에 꽂으면 바이오스에도 Windows 10에서도 인식 됨(이 경우 Sata2에 꽂은 SSD가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느림)
4. Sata0, Sata1에 꽂으면 바이오스에서는 인식되나 Windows 10에서는 인식 안 됨
위에 보이는 것처럼 바이오스 셋업 화면에서는 2개의 SSD가 잘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SATA Controller(s)는 Enabled, SATA Mode Selection은 AHCI 설정 상태다.
이 문제에 대해 보통의 답변은 부팅 후 Windows 10의 디스크 관리에서 초기화하고 포맷하는 수순을 알려주지만, 정작 Windows 10의 디스크 관리에 아무 것도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 살펴볼 부분에 대해 알아보자.
1. Sata 케이블을 교체해본다. 의외로 이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것 같다. 케이블에 6Gb/s가 적힌 놈으로 준비하자.
2. 다른 포트에 연결해보자. 메인보드 포트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다. 다만 6Gb/s 포트에 문제가 있어 3Gb/s 포트에 꽂을 수 밖에 없다면 속도를 포기해야 하는 점이 아쉽다. 캐쉬 기능 활성화하고, 인덱스 기능 꺼버리면 그나마 그럭저럭 쓸 수 있긴하다.
3. 오늘의 핵심. 아래 그림처럼 SATA Device Type 그러니까 디바이스가 그냥 디스크식 디스크 드라이브인지, Solid State Drive(SSD)인지 선택해주자.
이렇게 해도 안 되면 SSD 초기불량이거나, 메인보드 문제일 수 있다.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프에 860 삼성 ssd 주문했는데 (0) | 2020.12.05 |
---|---|
앤커 anker 버티컬 유선 마우스 직구 (0) | 2020.12.05 |
샤오미 무선충전 배터리 (0) | 2020.11.02 |
Q2U SAMSON USB/XLR Dynamic Microphone Q2U 다이나믹 마이크 (0) | 2020.10.27 |
아이폰se2세대 (0) | 2020.10.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Satellite
- 용담
- qm6
- 운지버섯
- 백출
- 웅산가교
- 적하수오
- 시루봉
- 우슬
- DHPPL
- 둥글레
- 단풍마
- 삽주
- 청룡사
- AIR2S
- C850D
- 토곡산
- 애기나리
- 넥스가드스펙트라
- 천문동
- 약초산행
- 부처손
- 둥굴레
- 다빈치리졸브
- 심장사상충
- 하수오
- 망운대
- 미니3
- 백수오
- 정병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