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약초교실

생강나무

밥상머리 2017. 3. 29. 19:24

생강나무 : 학명 - Lindera obtusiloba Bl.

라틴명 : Linderae Cortex

일반명 : 생강나무

과명 : 녹나무과(樟科 : Lauraceae)

약용부위 : 수피

효능

활혈서근(活血舒筋) -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치료 방법임.

산어소종(散瘀消腫) -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주치병증

심복동통(心腹疼痛) - 흉복부(胸腹部)(胸腹部)가 찌르는 듯이 아픈 것. 비위(脾胃)가 허한 데에 풍한사(風寒邪)가 침습하여 생김.


어혈종통(瘀血腫痛) - 어혈(瘀血)로 인해 붓고 아픈 것. 타박상이나 염좌(捻挫) 등에 의해 생긴다. 종기가 처음엔 검붉은색이다가 점차 검푸른색으로 변하면서 퍼진다. 곪으면 자주색의 고름이 나온다. 타박상(打撲傷)에 의한 어혈종(瘀血腫)은 빨리 진행되며 염좌에 의한 어혈종은 완만하게 진행된다.


질타손상(跌打損傷) -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손상당한 것


창독(瘡毒) - 온갖 창양(瘡瘍)을 통틀어 일컫는 말


이명 : 황매목(黃梅木)

성미 : 신(辛), 온(溫)


생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통증완화와 진정 특성, 생강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암전이 억제에 미치는 영향, 생강나무의 잎과 가지/줄기 혼합물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과 등에 관한 논문이 존재함.


생강나무 꽃은 한 김 살짝 쪄서 말린 후 꽃차로 마시면 향기와 맛이 아주 뛰어난 차가 된다고 함.


산수유꽃과 구분 할 필요있음. 주로 산 중에서 발견되는 노란 꽃은 생강나무, 집 주변은 산수유일 가능성이 크고

꽃 부분을 보면 산수유는 길게 올라온 꽃대가 보이고, 생강나무는 그렇지 않음.

'약초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둥굴레(황정) 구분이 어렵다.  (0) 2017.05.06
표고버섯  (0) 2017.04.17
인체가 보내는 신호와 그에 맞는 진단 - 간  (2) 2017.03.27
무릇  (0) 2017.03.22
산야초교실-적석지  (0) 2017.02.2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