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의 중요함, 시설의 중요함을 새삼 느끼게 된다. 방음부스에서 좋은 마이크로 녹음을 한다면 이런 저런 잡음 걱정 할 일이 없겠지만, 현실은 책상 위 컴퓨터의 팬소리, 기타 잡다한 소음이 유입되고 녹음 후 음량 볼륨 소리도 너무 작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거나 팬텀파워에 콘덴서 마이크를 꽂거나... 아니면 좋은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한다면 녹음 후 음량 소리는 해결 가능하겠으나 역시 문제는 잡음이다. 최근 보야 M1 핀마이크를 구입해서 녹음을 해보니, 싸구려 헤드셋에 달린 마이크 보다는 조금 큰 소리로 녹음되고 뭉개지는 부분도 약간 덜 한 것 같다. 어쨌거나 이 곳은 방음시설이 갖춰진 스튜디오가 아니기에 다시 한 번 나름의 셋팅값을 찾아 정리를 해둔다. 1. 녹음 탭의 마이크 속성으로(전면 패널잭에 ..
[시작] - [설정]에 들어가서 [시스템] - [소리]에서 밑으로 내리면 [사운드 제어판] 있음. 클릭 할 것. 1. [녹음] - [마이크] - [속성] 클릭 2. [수준]에서 마이크 70 정도, 마이크 증폭 +10 ~ +30.0 dB 상황에 맞게 올려가면서 녹음 테스트 해 볼 것. 3. 증폭하면 잡음도 같이 증폭되므로 [개선 기능]에서 DC 오프셋 취소와 소음 억제에 체크해 줄 것. 음향 반향 제거도 체크하여 녹음 테스트 해 볼 것. 싸구려 헤드셋에 달린 마이크라 그런지 수음이 제대로 안 되고, 잡음 유입도 많고, 녹음 후 소리가 너무 작아서 이런 저런 설정을 해보다가 나름 최적 설정으로 뽑아봄. Realtek 사운드 드라이버 사용 환경임. https://youtu.be/pmomU3tm7kA 마이크 녹..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병산
- AIR2S
- 약초산행
- 다빈치리졸브
- 둥굴레
- 하수오
- 백수오
- 부처손
- 우슬
- DHPPL
- 청룡사
- 미니3
- 운지버섯
- 망운대
- 적하수오
- 심장사상충
- qm6
- 둥글레
- C850D
- 백출
- 용담
- 애기나리
- 단풍마
- Satellite
- 웅산가교
- 토곡산
- 천문동
- 넥스가드스펙트라
- 삽주
- 시루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